-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알고리즘 2022. 7. 29. 11:38
신고 결과 받기(level 3)
문제 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설명
"muzi" "frodo"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frodo"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 "neo"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 "neo"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muzi"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신고당한 횟수
"muzi" 1 "frodo" 2 "apeach" 0 "neo" 2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정지된 ID
"muzi" ["frodo", "neo"] ["frodo", "neo"] "frodo" ["neo"] ["neo"] "apeach" ["muzi", "frodo"] ["frodo"] "neo" 없음 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풀이
이 문제는 다음 4단계로 접근이 가능했다.
1. 받은 report의 string을 분리해서
1-1. 신고를 한 사람(from)이 신고 받은 사람(to)를 이전에 신고한 적이 없다면 신고 받은 사람의 신고 받은 횟수+1을 한다.
1-2. 신고를 한 사람(from)의 신고한 사람 목록에 새로운 사람을 추가하고 Set을 통해 중복을 제거해준다.
2. 계정 정지 기준(k)를 넘게 신고 받은 사람의 리스트(willBannedList)를 생성한다.
3. 유저 리스트를 탐색하면서 유저가 신고한 사람중에 정지될 계정에 포함된 사람의 수를 찾아서 answer에 더한다. 이 때 answer를 유저의 수만큼 0으로 초기화 해주어 NaN이 나오지 않게 해준다.
4. answer를 리턴한다.
function solution(id_list, report, k) { let answer = Array.from(Array(id_list.length)).fill(0); let users = {} for(const [key, id] of id_list.entries()){ users[id] = [key,0,[]]; } report.forEach((value, idx)=>{ const [from, to] = value.split(' '); if(!users[from][2].includes(to)){ users[to][1] +=1; } users[from][2] = [...new Set([...users[from][2], to])] }) let willBannedList = []; for(const id of id_list){ if(users[id][1] >= k){ willBannedList.push(id) } } for(const id of id_list){ for(const banned of willBannedList){ if(users[id][2].includes(banned)){ answer[users[id][0]] +=1 } } } return answer; }
더 나은 로직 또는 클린 코드를 위한 피드백은 감사히 받겠습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정사각형 찾기 (0) 2022.08.11 [프로그래머스] 단속카메라(Greedy) (0) 2022.08.09 [프로그래머스] 베스트 앨범_해시 테이블 (0) 2022.07.13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_DFS/BFS (0) 2022.06.09 [프로그래머스] N개의 최소공배수_연습문제 (0) 2022.06.04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